URN (Uniform Resource Names) 에 대한 간략한 이해
URN(Uniform Resource Names)이란?
현재 인터넷 주소를 입력해야 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s)과 달리, 디지털콘텐츠 자체에 상품 바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붙여 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콘텐츠를 쉽게 찾고 인터넷으로 쉽게 유통하도록 해주는 식별체계를 말한다.
부연 하자면, URN(Uniform Resource Name)은 영속적이고 위치에 독립적인 이름으로 인터넷자원을 찾는 방식이며
사용자는 자원의 이름만 알면 그 자원에 대한 위치, 파일이름, 확장자 등을 알지 못하더라도 그 자원에 대한 접근이 가능함.
일반적인 체계는 urn:‘이름공간식별자’:‘이름공간에 대한 특별 문자열’로 구성
예) urn:def:blue_laser
이 같은 표준 식별체계가 정착되면 콘텐츠 이용자는 등록된 콘텐츠 정보(메타데이터)로 원하는 정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이용할 수 있게 되고, 콘텐츠 보유자나 유통사업자는 식별코드로 더 효율적이고 안정되게 유통시킬 수 있어
디지털콘텐츠 유통에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이를 위해 정통부는 문화관광부 등 관계 부처와 한국전산원/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한국디지털콘텐츠포럼 등
디지털콘텐츠 유통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공동협의체를 구성, 디지털콘텐츠 식별체계 개발/적용, 거래인증 등 유통서비스와
권리자 보호, 표준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디지털콘텐츠 식별시스템을 공공부문 디지털콘텐츠부터 시범 적용하고 점차
디지털콘텐츠 보유자와 유통사업자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용어해설>
국가URN기반구축사업 = 흔히 사용하는 URL방식의 인터넷 자원 식별체계는 정확한 식별기능이 떨어져 콘텐츠 유통에 맞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RN(Uniform Resource Names)을 이용하는 방법이 세계적인 추세이며, 디지털콘텐츠 유통에 관한
국제 표준화 기구인 MPEG21과 TV애니타임 등에서 권장하고 있다. 이는 마치 국가가 국민 개개인에게 영구적이고
고유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해 과세/출입국관리/호적관리/금융 등 서비스를 훨씬 더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과 비슷하다.
주소지가 바뀌면 개인이 동사무소에 신고해 고유ID와 실제 거주지를 맞추는 것처럼 국가는 인터넷 디지털콘텐츠에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해 콘텐츠의 주요한 정보(메타데이터)를 관리, 안정되고 효율적인 디지털콘텐츠 유통체계를 만들게 된다.
o 콘텐츠가 존재하는 인터넷상의 장소가 아닌 콘텐츠 그 자체를 식별하는 체계로서 기존의 인터넷 주소체계를 보완함.
콘텐츠에 부여된 식별자를 이용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디지털콘텐츠의 효율적인 관리 및 유통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의 핵심요소임.
o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해서는 콘텐츠가 갖는 구체적인 속성 및 특성(metadata)의 파악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식별자와 metadata를 통칭하여 식별체계라 함.